Hello World
를 출력해본 것으로는 부족하죠? 더 다양한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고 싶을 것입니다.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고, 처리한 뒤 결과물을 출력해 주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고 싶으시죠? 파이썬에서는 상수들과 변수들을 활용하여 이러한 일을 할 수 있습니다. 이 장에서는 이외에 몇 가지 기본 기능들에 대해서도 다뤄 볼 것입니다.#
문자로 시작하는 한 줄짜리 짧은 문장입니다. 소스 코드를 읽는 사람들을 위해 개발자의 의견을 적어두는 용도로 자주 사용됩니다.5
, 1.23
과 같은 숫자나, 'This is a string'
혹은 "It’s a string!"
과 같은 문자의 나열을 말합니다.2
는 언제나 자기 자신이 2라는 숫자임을 나타내며 어떤 다른 의미도 갖지 않습니다. 이들은 한번 지정되면 그 값을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상수입니다. 특별히 이러한 값들을 리터럴 상수라고 부릅니다.2
입니다. 이것은 단순히 2라는 숫자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부동 소수점 숫자의 예는 3.23
, 52.3E-4
와 같은 값입니다. E
표기법은 E 뒤의 값이 10의 지수임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52.3E-4
는 52.3 * 10^-4^
라는 값을 의미합니다.숙련된 프로그래머들을 위한 주석파이썬에서는long
형이 따로 없습니다. 대신int
형에 어떤 크기의 정수든지 담을 수 있습니다.
'Quote me on this'
와 같이 하면 됩니다. 작은 따옴표 안쪽의 모든 공백 문자, 즉 띄어쓰기나 탭 등은 입력한 그대로 유지됩니다."What's your name?"
과 같습니다. (큰 따옴표로 둘러싸인 문자열 안에 작은 따옴표가 포함되어도 됩니다)."""
또는 '''
). 세 개의 따옴표로 묶여진 문자열 안에서는 작은 따옴표든 큰 따옴표든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C/C++ 프로그래머들을 위한 주석파이썬에서는char
형이 따로 구분되어 있지 않습니다. 파이썬에서는 이것이 딱히 필요가 없습니다. 곧 여러분도 char 형을 찾지 않게 될 것입니다.Perl/PHP 프로그래머들을 위한 주석파이썬에서는 작은 따옴표나 큰 따옴표로 묶인 문자열을 동일하게 취급합니다. 둘 사이에 어떤 차이도 없습니다.
format()
을 이용합니다.format
메소드를 사용하여 이 표시들을 format
메소드에 주어진 인자들로 치환한 것입니다.{0}
이 사용되었으며 이것은 format 메소드에 주어진 첫번째 인자, 즉 변수 name
에 해당됩니다. 마찬가지로, 두번째 사용된 표시는 {1}
이며 이것은 format 메소드에 주어진 두번째 인자인 age
에 해당됩니다. 파이썬은 숫자를 셀 때 항상 0 부터 세기 시작한다는 점에 유의하세요. 즉, 첫번째 인자의 인덱스는 0 이며, 두번째는 1 입니다.format
메소드를 이용할 경우에는 이를 알아서 자동으로 변환해 줍니다. 또 format
메소드를 이용할 경우 변수들을 신경쓰지 않고 문자열의 내용을 수정하기 쉬우며, 문자열에 신경쓰지 않고도 변수의 위치나 순서 등을 변경하기가 더 쉽습니다.format
은 중괄호 표시의 위치에 주어진 인자들의 값을 치환해 넣습니다. 이때, 중괄호 표시에 다음과 같이 좀 더 상세히 세부사항을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print
명령은 언제나 주어진 문자열의 끝에 "줄바꿈" 문자 (\n
) 을 덧붙인다는 것 또한 기억하세요. 따라서 print
명령을 호출할 때마다 그 다음에 호출한 print
명령의 내용은 항상 그 다음 줄에 출력됩니다. 이것을 막기 위해서는 print 함수의 인자 end
를 공백으로 지정하면 됩니다.end
를 한 칸 공백으로 지정하면 다음과 같이 됩니다.'
)를 포함하고 있는 문자열을 정의하고 싶다고 해 봅시다. 이 경우 어떻게 이 문자열을 정의하면 될까요? 예를 들면 "What's your name?"
과 같은 문자열을 정의하는 것입니다. 물론 큰 따옴표를 써서 "What's your name?"
이라고 하면 되겠지만, 'What's your name?'
과 같이 작은 따옴표를 사용하기는 어렵습니다. 왜냐면 이 경우 문자열의 시작과 끝이 어디부터 어디까지인지 모호해지기 때문이죠. 따라서 우리는 문자열 안에 포함된 작은 따옴표가 문자열의 끝을 의미하는 작은 따옴표가 아니라는 것을 파이썬에게 알려줘야 합니다. 이것은 이스케이프 문자라 불리우는 것을 이용하면 해결할 수 있습니다. 사용법은 작은 따옴표 앞에 \
문자(enter 키 위에 있습니다)를 붙여 \'
와 같은 방식으로 표기하면 됩니다. 이를 이용하면, 위의 문자열은 'What\'s your name?'
과 같이 표기할 수 있습니다.\
문자를 표기하고 싶을 경우에는 \\
라 표기하면 됩니다.\n
로 줄바꿈을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다음 예제를 확인하세요.\t
로 표현되는 탭 문자입니다. 이외에도 여러가지 이스케이프 문자를 이용한 유용한 다른 표기들이 있지만, 일단은 가장 유용하게 쓰이는 것 몇 가지만 알려 드리겠습니다.r
또는 R
문자를 붙여 순 문자열임을 표기합니다. 다음 예제를 확인하세요.정규 표현식 사용자를 위한 주석정규 표현식을 사용할 때는 항상 순 문자열을 사용하세요. 그렇지 않으면 문자열 내에 이스케이프 문자가 너무 많아져 알아볼 수 없게 될지도 모릅니다. 순 문자열을 사용하면,'\\1'
을r'\1'
로 짧게 표기가 가능합니다.
_
) 이어야 합니다._
), 또는 숫자 (0-9)가 될 수 있습니다.myname
과 myName
은 다릅니다. 전자의 n
은 소문자이고, 후자의 N
은 대문자입니다.i
, name_2_3
등과 같습니다. 올바르지 않은 식별자 이름은 2things
, this is spaced out
, my-name
, >a1b2_c3
등입니다.객체 지향 프로그래머들을 위한 주석:파이썬은 강력한 객체 지향 언어로써 숫자, 문자, 함수 등등 모든 것을 객체로 취급합니다.
Run
→ Edit Configurations
을 누르고 Script parameters:
섹션에 인수를 입력해 준 뒤 OK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python program.py
와 같이 파이썬 인터프리터를 통해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5
를 변수 i
에 할당 연산자 (=
)를 이용하여 할당하였습니다. 이러한 한 줄을 명령(statement)이라고 부르는데, 이 경우 변수명 i
에 값 5
를 할당하였기 때문입니다. 다음으로, i
에 할당된 값을 print
명령을 이용하여 출력합니다. 그러면 변수에 지정된 값이 화면에 나타납니다.i
에 할당된 값에 1
을 더한 후 그 값을 다시 변수에 할당합니다. 이제 이 값을 출력하면, 예상대로, 6
이라는 값이 출력됨을 알 수 있습니다.s
에 저장된 후 화면에 출력됩니다.정적 언어 프로그래들을 위한 주석파이썬에서는 변수에 값을 할당함으로써 자동으로 해당 변수가 생성되며 곧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로 변수의 자료형을 지정할 필요도 없고, 미리 변수를 선언할 필요도 없습니다.
print 'hello world'
같은 것입니다. 만약 이것이 실제 코드 상으로도 한 줄로 표현되어 있다면 (편집기에서 보이는 그대로를 말합니다), 이 한 줄은 물리적 명령행이라고도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을 이용하여 논리적 명령행의 끝을 명시적으로 파이썬 인터프리터에게 알려줄 수 있습니다. 다음 예제를 확인하세요.\
)를 이용하여 한 논리적 명령행을 여러 물리적 명령행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를 명시적 행간 결합이라 부릅니다.들여쓰기 하는 법들여쓰기를 할 때에는 한번에 공백 4개를 이용하세요. 이것은 파이썬 언어에서 공식적으로 추천하는 방법입니다. 좋은 편집기들은 이 사항을 자동으로 준수합니다. 또, 들여쓰기를 할 때에는 항상 같은 개수의 공백을 사용해야 한다는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정적 언어 프로그래머들을 위한 주석파이썬은 블록 구분을 위해 들여쓰기를 사용하며, 중괄호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파이썬에서 from__future__ import braces
명령을 실행하여 자세한 사항을 확인하세요.